성룡 (成龍, Jackie Chan ) 본명 : 진항생 (陳港生) , 방사룡 출생 : 1954년 04월 07일 출생지 : 홍콩 가족관계 : 부인 배우 임봉교, 아들 배우 진조명(방조명) 수상 : 1989년 홍콩금상장 작품상 1993년 대만금마장 남우주연상 [출연] 소림사 (少林寺, 2011) 쿵푸 키드 (Kung Fu Kid, 2010) 대병소장 (大兵小将 Little Big Soldir, 2010) 스파이 넥스트 도.. 필모그래피 2009.09.08
영원한 ‘우리형’ 成龍 성룡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영원한 ‘우리형’ 成龍 성룡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필름 2.0 2005-01-25 21:00] 나이 들고 기력도 쇠한 성룡의 최근 행보는 실망스러웠다. 하지만 홍콩으로 돌아와 완성, 완결한 <뉴 폴리스 스토리>는 여전히 가슴뭉클한 감탄을 불러일으키며 우리를 그와의 지난날로 안내한다. 우리에게 성룡은 성룡.. My Favorate 2009.08.31
샐러드 드레싱 아직도 드레싱이라면 케첩과 마요네즈 버무림밖에 모르는가? 건강하지 않은 드레싱이 샐러드를 망치면 모처럼의 건강식이 쓰레기가 되지 않겠나? 기름과 방부제투성이인 드레싱에서 당신을 구해줄 건강 드레싱 7가지를 준비했다. 1 토마토 드레싱 21세기를 책임질 항암의 전사 토마토. 토마토의 대표.. 음식과 요리 2009.08.22
재미있게 본 영화 -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West Side Story (1961) ★★★★ 미국 ㅣ 감독 : 제롬 로빈스, 로버트 와이즈 ㅣ 주연 : 나탈리 우드, 리차드 베이어 50년대 뉴욕의 뒷골목을 무대로 미국의 인종문제와 청소년들의 문제점을 뮤지컬로 표현한 작품. 뮤지컬 영화가 대형 영화로 성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 헐리우드 영화.. 영화목록 2009.07.26
[스크랩] Re: 어린이날의 유래와 방정환선생님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어린이날의 유래와 방정환선생님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어린이날] 1. 의 의 - 어린이 애호사상의 함양 및 건전육성을 위한 범국민적 분위기 조성 - 어린이의 건전육성과 인격을 소중히 여기고, 어린이의 행복을 도모하고자 함. ▷ 매년 5월 5일이다 ▷ 어린이들이 올바르고 슬기로우며 씩씩하게 자라도.. 경제와 뉴스 2009.07.21
The Sound Of Silence - Simon And Garfunkel Hello, darkness my old friend 안녕 내 오랜 친구, 어둠이여, I've come to talk with you again, 너와 다시 대화하기 위해 내가 찾아왔어 Because a vision softly creeping, 왜냐 하면 내가 잠을 자고 있을 때 I left the seeds while I was sleeping, 어느 환상이 씨앗이 되어 날 지배했으니까 And the vision that was planted in my brain 그 환상은 아.. 음악 2009.05.28
폴 크루그먼, 김인준 대담 - 한국경제 폴 크루그먼 美 프린스턴대 교수(2008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김인준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한국경제학회장) 대담 김인준, 폴 크루먼 김인준 교수; 노벨상 수상을 뒤늦게나마 다시 축하한다.아마 노벨상과 퓰리처상을 모두 받은 첫번째 인물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글로벌 금융위기와 위기 이후의 세.. 경제와 뉴스 2009.05.23
[스크랩] 기타 차의 제조 방법 기타 차의 제조 傳統茶 우리의 전통차인 團茶는 당 &#8226;송시대에 걸쳐서 중국에서 성행했던 차로 최초 당나라에서 유입되어 삼국시대 대부터 근세인 1940년대까지 장흥, 남해안 지방에만 존재했었던 차이다. 청태전, 돈차, 떡차, 관차, 강차 등이 단차의 유습이 남아 있었던 차인데 이 중 돈차는 저.. 음식과 요리 2009.05.19
현청의 별 오다 유지 인터뷰 『현청의 별(星)』 오다(織田) 유지(裕二) 인터뷰 시골도시의 슈퍼를 무대에, 오다가 연기하는 K현청의 캐리어 공무원·노무라(野村)와 시바사키 고가 연기하는 파트 직원과의 “관VS국민”배틀을 유머러스하게 그린 『현청의 별』은, 2월25일부터 공개된다. 『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2레인보우 브리지.. My Favorate 2009.05.13
[스크랩] 한국 VS 일본 포털사이트 [뉴스섹션] 비교 1.라디오나 TV보다 인터넷을 통해 뉴스를 더 많이 보는 시대가 되었다. 인터넷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는 이유는? 첫째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둘째 네티즌들의 댓글로 인해 실시간 반응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국과 일본 네티즌들의 뉴스 소비 형태는 어떨까. 2. 뉴스 사이트 구성 비교: 한국.. 경제와 뉴스 2009.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