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김동렬칼럼] 일본은 끝났는가? - 참 저 나라도 답 안 나오는 나라긔 일본은 끝났는가? 요즘 일본이 하고 있는 꼴을 보면 ‘참 저 나라도 답 안 나오는 나라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국가의 핵심은 의사결정 구조다. 어떤 국가의 시스템이 우수한가 혹은 그렇지 못한가는 결국 최적화된 의사결정구조를 갖추었는가의 여부로 판별된다. 지금 일본의 의사결정 시스템은 확.. 역사와 문화 2011.04.21
[스크랩] 15년전 한국 외교관의 명쾌한 ‘독도 문답’ 국제재판소행·무주지설 조목조목 반박 … 일본 입장 전하러 온 프랑스 법학자도 설복받고 떠나 최근 일본의 독도 왜곡에 대한 국제법·역사적 반박자료 역할 일본이 교과서 검정과 외교청서 발표를 통해 독도에 대한 역사왜곡을 되풀이하고 있다. 격앙된 국내 여론과 대조적으로 일본 주장의 근거.. 역사와 문화 2011.04.05
위안부 할머니모임, 일본지진에 대해 특별성명 전문 !! 위안부할머니모임,,,,,일본지진에대해 특별성명전문 !! 하늘 아래 다 같은 생명입니다. 일본 대지진 피해에 대해 심심한 애도와 위로를 표합니다. 지난 10일 일본 북동부지방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막대한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이 발생한 데 대해 심심한 애도와 위로를 표합니다. 무릇 하늘 아래 다 같.. 역사와 문화 2011.03.14
6.25전쟁의 아픔을 느끼게 하는 한 통의 편지 아래는 1950년 8월, 포항여중전투에 참전한 故이우근 학도병의 일기다. 이우근 학도병은 서울 동성중 3학년 재학 중 소년병으로 참전했다. 1950년 8월11일, 그는 포항여자중학교 앞 벌판에서 전사했다. 이 일기는 그의 주머니 속에서 발견 됐다. 이 글은 어느 여군 정훈장교가 기록했는데, 수첩의 핏자국으.. 역사와 문화 2010.06.20
[스크랩] 시대를 앞서간 천재 중의 천재 과학자들은 살아 있을때 인정을 받아 역사에 이름을 남기는 경우가 있지만 반대로 너무나 뛰어난 재능 때문에 죽어서야 인정 받거나 그의 이름 자체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니콜라이 테슬라(Nikola Tesla) 라는 과학자도 이런 케이스로 100년후에 가능할만한것을 100년전에 개발한 인류최고의 .. 역사와 문화 2008.11.19
[스크랩] 용의 눈물 이야기와 21세기 한국경영 자의누리 칼럼 (2004년) 왜 우리 국호는 고조선, 조선이었나, 그리고 자의누리는 무엇인가? - 용의 눈물 이야기와 21세기 한국경영 - 1. ‘용의 눈물’의 주인공 1997년부터 1년간 전 시청자를 사로잡았던 TV 사극이 ‘ 용의 눈물 ’을 기억하는가? 우리나라 TV 역사상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 160회의 대하 드.. 역사와 문화 2008.04.28
나의 소원 - 김구 나의 소원 1. 민족 국가 2. 정치 이념 3.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1) 민족 국가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느님이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 다음 소원은 무엇이냐 하면 나는 또, "우리 나라의 독립이오." 할 것이요, 또 그 다음 소원이 무엇이냐 하는 .. 역사와 문화 2008.04.27
[스크랩] 나치가 최초로 발명한 것들..ㄷㄷㄷ 1. 독일의 콘라드 주우스 박사가 1938년에 개발한 인류 최초의 컴퓨터 'Z-1' 1944년에 개발된 'Z-4' 컴퓨터는 V-2 로켓의 궤도를 계산하는데 사용됐고 이는 세계 최초로 컴퓨터 언어 '플랭칼쿨'을 사용, 세계최초로 전쟁에 컴퓨터 도입. 2. 1942년에 세계최초로 사용된 오디오/비디오/데이터 녹음기 '마그네토폰.. 역사와 문화 2008.03.14
[스크랩] 학문 오지라퍼들 칼 마르크스 빠지는데가 없으셔........... 정치경제사회를 초월해 넘나드심 ㄱ- 윌리엄 모리스 19세기 영국 시인이자 극작가, 수필가, 번역가, 건축사상가, 공예가, 디자이너, 정치가, 사회주의자, 낭만주의자, 환경 보호 운동가, 문화 유산 보존 운동가, 아나키스트, 유토피아주의자, 정치 평론가, 교육사.. 역사와 문화 2008.03.13
눈으로 세상을 3일만 볼 수 있다면 - 헬렌 켈러 만약에 내가 3일 동안만 볼 수만 있다면 첫째 날에는 친절과 우정으로 내 삶을 가치있게 만들어준 사람들을 보고 싶다. 손으로 만져보는 것이 아니라 친구들의 내면적인 천성까지도 깊숙히 보고 싶다. 사랑하는 친구들을 모두 보고 싶다. 오후가 되면 오랫동안 숲속을 산책하면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 역사와 문화 2008.02.27